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📌 실제 사용 사례로 보는 모성보호시간
아래는 업종·기업규모·상황별로 실제 있었던 모성보호시간 활용 사례를 정리한 표입니다. 각 사례는 근로기준법과 실제 현장 경험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.
사례 번호 | 상황 | 유급 여부 | 세부 내용 |
---|---|---|---|
1 | 대기업 재직자 | 유급 | 임신 20주차, 단체협약에 따라 오전 10시 출근·오후 5시 퇴근. 전액 급여 지급, 연차 차감 없음. |
2 | 중견기업 재직자 | 혼합 | 임신 8개월, 오전 10시 출근·오후 6시 퇴근. 1시간 유급 + 1시간 무급 처리. |
3 | 중소기업 재직자 | 무급 | 임신 10주차, 하루 2시간 단축 전액 무급. 정부지원금 연계 시 유급 가능성 있음. |
4 | 거부 사례 | - | 임신 14주차 신청 거부. 신청서·거부 이메일 증거 확보 후 노동청 진정, 2주 후 승인. |
5 | 출산 후 복귀자 | 유급 | 출산 후 6개월 복귀, 오후 2시간 조기 퇴근. 취업규칙에 따라 전액 유급. |
💡 사례별 핵심 포인트
- 대기업·공공기관: 대부분 전액 유급, 규정 명시.
- 중견기업: 1~2시간 중 일부만 유급, 나머지는 무급.
- 중소기업: 무급 비율 높음, 정부지원 연계 시 유급 가능.
- 거부 시: 증거 확보 → 노동청 진정 → 시정 지시.
- 출산 후 1년 이내에도 신청 가능, 유급 여부는 회사 규정에 따라 다름.
📌 TIP : 모성보호시간 신청 전, 반드시 회사의 취업규칙·단체협약을 확인하고, 필요하면 노무사 상담을 통해 권리를 지키세요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