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📅 2025년 실업급여 180일 기준 계산법 총정리

    실업급여 180일 기준 계산법
    실업급여 180일 기준 계산법

   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단순히 ‘6개월 이상 근무’했다고 되는 것이 아닙니다. 고용보험 피보험 단위기간 180일을 채워야 하는데요, 이 조건은 생각보다 계산이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. 오늘은 2025년 기준 180일 기준의 의미, 계산 방법, 주의사항, 예시를 모두 알려드릴게요.

    📌 실업급여 180일 기준이란?

    고용보험법에서 말하는 180일은 퇴직일 이전 18개월(초단시간 근로자나 자영업자 등 일부는 24개월) 동안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던 실제 근무일 수를 의미합니다.

    • 단순 ‘개월 수’가 아니라 ‘일 수’로 계산
    • 유급휴일은 포함, 무급휴가·결근일은 제외
    • 중간에 이직을 여러 번 해도 합산 가능
    •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 기간은 포함 불가

    📝 계산 방법

    1. 퇴직일 기준 기간 설정
      - 예: 2025년 8월 31일 퇴직 → 2024년 3월 1일부터 2025년 8월 31일까지 18개월
    2. 고용보험 가입 이력 조회
      - 고용보험 토탈서비스 또는 정부24에서 ‘고용보험 자격이력 내역서’ 발급
    3. 근무일 합산
      - 주 5일 근무자: 한 달 약 22일 근무일
      - 주 6일 근무자: 한 달 약 26일 근무일
    4. 총합이 180일 이상인지 확인

    📊 계산 예시

    예시 1: 주 5일 근무, 8개월 근무 → 8개월 × 22일 = 176일 → 불충족 ❌
    예시 2: 주 6일 근무, 8개월 근무 → 8개월 × 26일 = 208일 → 충족 ✅

    💡 주의사항

    • 일용직·단기근로자는 실제 근무일만 인정
    • 겸직 중복 기간은 하루로만 계산
    • 육아휴직·병가 등 고용보험 적용 제외 기간은 제외
    • 고용보험 미가입 사업장 기간은 포함 불가

    ⚠ 자주 틀리는 부분

    • ‘계약기간이 6개월 넘으니 자동 충족’ → X
    • ‘근무일이 아닌 휴가 포함’ → 무급휴가일은 제외
    • ‘퇴사 직후 신청 안 해도 됨’ → 1년 이내 신청 필수

    🧮 자동 계산 방법

   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피보험 단위기간 조회 메뉴를 이용하면 자동으로 계산됩니다. 가입 이력만 입력하면 180일 충족 여부를 바로 알 수 있습니다.

    👉 피보험 단위기간 조회 바로가기

    ❓ Q&A

    Q1. 자발적 퇴사인데 180일 채웠으면 받을 수 있나요?
    A. 원칙적으로 불가하지만, 임금체불·괴롭힘 등 정당한 사유 시 예외 가능

    Q2. 중간에 이직이 많으면 불리한가요?
    A. 아니요, 모든 가입기간 합산 가능

    Q3. 일용직은 어떻게 계산하나요?
    A. 실제 근무일 기준, 하루하루 합산

    📚 함께 보면 좋은 글

    💼 지금 180일 충족 여부 확인하세요

    고용보험 가입기간이 헷갈린다면
    지금 바로 피보험 단위기간을 확인해보세요!

    🔍 고용보험 홈페이지 바로가기

     

    반응형